프로그램개발/Linux(Apache.vim)

회선,대역폭 갈무리

크레도스 2014. 3. 21. 16:39

회선

 

회선?  가정에서 하나로인터넷 사용하듯이, 서버 인터넷 선이라고 보면됩니다. 회선비도 성능에 따라 가격이 달라집니다

 

-------------------------------------------------------

 

네트워크라는 것을 데이터들이 다닐 수 있는 도로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대역폭이란 도로의 폭과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차량이 많을 때 2차선 보다 4차선이 더 빨리 더 많은 차가 다닐 수 있겠죠.

네트워크 대역폭은 일반적으로 인터넷 속도라고 보셔도 큰 무리가 없습니다.

저희가 인터넷 속도가 2M이니 10M이니하는 것이 이 대역폭을 지칭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대역폭 10Mbps        질문이요                비공개 2010.11.16 18:06                           답변1  조회19

 

네트워크 총량 트래픽 월 600G 기본제공, 초과 트래픽 1G당 150원(VAT별도) 계산

기본 대역 트래픽 초당 10Mbps 제공, 초과 트래픽 1Mbps당 18,000원(VAT별도)계산

고객님의 부담을 최소화 하기 위한 가장 합리적인 트래픽 초과 과금 시스템 적용

대역 트래픽 MRTG 5분값 기준 일 최대치 중 2번째 값 평균치로 일 최대값 설정

월간 기준 일 최대값 1,2위 값 평균으로 월 트래픽 계산

대역 트래픽과 총량트래픽중 작은 값으로 과금합니다.

 

이렇게 되어 있던데 여기서 대역폭 10Mbps가 데체 어느정돈지 궁금합니다.

 

어느정도 급의 사이트가 되어야 이것을 초과할 수 있는지 예를 들어 주소좀 알려주실 수 있나요?

 

그리구 simsimhe.com사이트의 대역폭은 어느정도되는지도 궁금합니다. 이정도면 10Mbps넘나요?

 

하루 15만방문, 500만 페이지뷰라는군요.

 

 

simsimhe.com과 같은 웹사이트 운영할 때 한달 유지비가 80000인 서버호스팅

 

Nehalem Quad Core 2.13G

4G DDR3 RAM

 

HDD 1TB(데이타베이스 및 웹공간포함)

 

트래픽 총량 트래픽 월 600G 기본제공, 초과 트래픽 1G당 150원(VAT별도) 계산

기본 대역 트래픽 초당 10Mbps 제공, 초과 트래픽 1Mbps당 18,000원(VAT별도)계산

고객님의 부담을 최소화 하기 위한 가장 합리적인 트래픽 초과 과금 시스템 적용

대역 트래픽 MRTG 5분값 기준 일 최대치 중 2번째 값 평균치로 일 최대값 설정

월간 기준 일 최대값 1,2위 값 평균으로 월 트래픽 계산

대역 트래픽과 총량트래픽중 작은 값으로 과금합니다.

 

을 이용한다 치면 한달 유지비는 어느정도 나올지도 예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e: 대역폭 10Mbps   질문이요          yjhwang93         답변 채택률 66.7%     2010.11.17 15:31

질문자 인사 : 정말 대단해요! 당신의 지식에 감탄하고 갑니다.^^

 

대역폭 10Mbps 라고 하는건 초당 10Mega bit 의 자료를 처리할수 있는 네트웍 대역폭입니다.

 

이를 바이트로 계산하면 10M / 8 = 1.25 메가 정도되겠네요.

 

그러니까 초당 1.25메가 정도의 네트워크 대역폭까지 소화가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simsimhe.com 사이트를 보니 메인페이지의 텍스트는 약 60Kbyte 정도가 나오고

 

이미지까지 포함하면 1메가 내외가 될것 같습니다.

 

서브 페이지 들어가고 이미지가 포함되면 용량이 더욱 늘어날것 같구요.

 

즉 한명이 방문하면 1메가 정도의 트래픽이 발생한다고 보시면 되구요..

 

하루방문 15만명에 페이지뷰가 500백만이면 ㅡ.ㅡ;

 

 

1메가 x 5,000,000 페이지뷰 = 5,000G

 

하루에 5,000G 정도의 데이터 전송량이 발생할것 같습니다.

 

이를 월로 환산하면 5,000G x30 일 = 150,000G 의 데이터 전송량이 발생합니다.

 

이렇게 트래픽이 많은 경우는 10Mbps 대역폭으로는 어림도 없구요.

 

데이터 전송량 자체가 무제한인 100Mbps 회선 2개 이상은 써야합니다.

 

 

100M dedication 회선의 경우 회사마다 월200만원 ~ 300만원정도의 비용이 소요되니

 

100M 2개를 쓴다는 기준하에 월 400~600만원정도가 회선비용이 소요가 되게 되겠네요.

 

 

즉 사이트의 규모를 보시고 위의 계산법에 따라 계산하면 어느정도의 비용이 소요될지 계산이

 

될것 같네요.

 

 

회선상품의 경우는 크게 3가지를 구분으로 나뉘어 지게 됩니다.

 

 

네트워크 용량 :

 

  - 10Mbps

 

  - 100Mbps

 

 

나눠쓰느냐 혼자 쓰느냐

 

 - shared (10Mbps 회선을 여러개의 서버가 나누어 씀)

 

 - dedication (10Mbps 회선을 하나의 서버가 씀)

 

 

일전송량 제한

 

 - 일 전송량 제한이 있느냐

 

 - 일 전송량 제한이 없느냐

 

 

문의하신 상품의 경우

 

 - 10Mbps / shared / 일전송량 제한 상품

 

 

제일 구린 상품이지요..그래서 가격도 싼거구요..

 

 

 

 

트레픽 용량 , 계정용량 , 대역폭 질문에 대해서 정확한 답변 부탁 합니다.

   내공 팍팍 쏩니다.          freshely               2010.10.27 20:24                 답변2   조회204

 

대역폭 이라는 것은  인터넷의 속도 라고 알고 있습니다.  

 

1.대역폭과  네트웍이라는 것은 같은 말인지요?

 

계정용량(웹)     대역폭   

    30G           15Mbps

 

2.이라는 것은 동영상을 올릴 있는 용량이 총 30G이고 빠르기가 15 Mbps라고 알고 있는데 맞는지요?

 

3.빠르기는 여러사람이 동영상을 다운 받아도 상관 없는 것인지요? 도로에 차가 많으면 도로가 막히듯이 사용자가 많으면 소고도 느려지나요?

 

4. 월 트레픽 용량은 표시가 안된 것이죠? 유추가 가능한 것인가요?

 

@@@하드용량 : 9G  월 트레픽량 :3000G   네트웍의 제한이 없음.@@@

 

5. 네트웍의 제한이 없다는 것은  대역폭의 제한이 없어서  사용자가 많아도 빠르기는 일정하다는 소리 안가요?  

 

6. 맨위의 계정용량과  바로 위의 하드 용량이라는 말은 같은 말인가요?   사용자가 많고 적고 관계없이  홈페이지에 동영상을 올릴 수 있는 용량을 말하는 것인가요?

 

7. 월트레픽 량 3000G  라고 하는 것은  예를 들어서 사람들이 하루에 동영상 이용 용량이 100G 라고 하면  이틀이면  총 200G 이고  한달 3000G가 되는데   만약 3000G를 넘으면 못쓴다는 것이지요?

 

 re: 트레픽 용량 , 계정용량 , 대역폭 질문에 대해서 정확한 답변 부탁 합니다. 내... ehdcksgnl

                  답변채택률 74.7%                2010.10.29 17:55

질문자 인사 : 답변 내용이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정말 대단한 답변 입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이렇게 멋찐 답변은 처음 봣습니다. 와우 대단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윗분 답변에 조금 오류가 있는것 같으니 수정해드리겠습니다.

 

1. 대역폭과 네트워크는 좀 다른 말입니다. 네트워크가 좀 더 포괄적인 의미입니다. 네트워크는 컴퓨터와 컴퓨터의 연결 그 자체를 의미합니다. 대역폭은 한번에 얼만큼의 정보가 그 홈페이지에 업/다운로드 할 수 있느냐인데, 속도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2. 올릴 수있는 용량이 30G이라 하면, 자신이 운영할 웹파일(php html 등)을 포함하고 홈페이지 컨텐츠(사용자가 업로드하는 파일)을 합쳐서 30G를 넘지 않으면 되는 겁니다. 보통 호스팅사에서는 HDD추가를 할 수 있으니, 용량이 부족하게 되는 날에는, 추가로 비용을 부담하시고 신청하시면 될 겁니다.

 

3. 먼저 확실히 해야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대역폭이 15Mbps이라하는것은, 15Mb per second로, 1초에 15Mb의 용량을 주고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Mb는 Mega Bit입니다. 8Bit=1Byte로, 보통 사용하는 메가바이트의 단위로 고쳐보면 15Mb는 15/8=1.875MB 입니다. 이게 통신사나 호스팅사에서 자주 이용하는 수법이죠. 숫자를 늘릴 수 있으니까요. 이게 윗분 답변의 오류이고요, 1초에 약 1.9메가바이트의 속도로 자료를 업/다운로드 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한명이 다운받는다고 하면, 초당 1.9메가바이트의 속도가 나올 것이고, 2명이 다운받는다고 하면, 그 대역폭을 2로 나눈 초당 0.95메가바이트의 속도로 다운을 받을 수 있을것입니다.

 

4. 월 트래픽 용량을 유추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속도제한을 걸어놓고 월 트래픽은 무제한이라고 해 놓은 것이니까요. 굳이 유추를 해보자면 한달을 30일로 잡았을 때 하루는

 

60x60x24=86400초

 

한달은 86400x30=2592000초

 

2592000x1.875=4860000MB/1024 = 4746.09375 GiB(GB보다 조금 더 정확한 단위)입니다.

 

즉, 30일동안 쉬지않고 대역폭의 최대속도로 업/다운로드를 했을 경우에 약 4746GiB의 자료를 업/다운 할 수 있는 것이죠.

 

용량면에서 보면 훨씬 많아 보이지만, 사용자는 트래픽보다는 자신의 속도를 걱정하기 마련이니, 불편하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5. 대역폭에 제한이 없고, 월 트래픽만 제한이 걸려있는 경우, 서버에 연결된 회선의 트래픽만큼(보통 대형 호스팅사의 서버의 경우 서버당 1Gbps의 속도), 즉 사용자의 회선의 속도만큼 다운로드 속도가 나지만, 월 트래픽이 딸리는 경우가 다반사죠.

 

6. 계정용량은 하드용량과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같다고 보시면 되요.

 

7. 네, 월트래픽을 초과해서는 홈페이지를 차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어느 호스팅사에 따라서는, 트래픽이 초과되도 서버를 막지 않고, 트래픽 초과분만 다음달에 따로 청구해서 후불로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본인이 알아서 선택하세요.

 

답변이 많이 길어졌네요. 질문자뿐만 아니라, 이글을 들리는 분들도 잘 알고 가셨으면 좋겠습니다.

 

re: 트레픽 용량 , 계정용량 , 대역폭 질문에 대해서 정확한 답변 부탁 합니다.

     답변채택률 84.6%                                2010.10.28 10:10

 

답변 드리겠습니다.

 

대역폭이라 함은 데이터가 전송할 수 있는 양의 정도를 말합니다.

 

대역폭 15MBps는 1초당 15MB의 데이타까지 전송할 수 있다라는 뜻입니다.

 

대역폭은 다운로드 속도라는 개념이 아니라 한꺼번에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는 양으로 이해하셔야 합니다.

 

방문자가 많은 웹사이트일수록 고려하게 되는 것이 대역폭입니다.

 

용량 30G에 대역폭 10MBps는 30G업로드 가능하며, 초당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는 최대용량이 15M라는 이야기입니다.

 

대역폭의 개념이 적용되어,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파일을 다운받는다면 다운로드 속도가 느려집니다.

 

하드 용량과 계정 용량은 같은 말이며 마지막 7번 질문은 질문자님이 생각하시는대로가 맞습니다.

 

 

 

 

웹서버 사양질문                   비공개 2007.02.05 16:21                               답변1   조회1,344

소규모의 웹서비스(홈페이지)를 운영하기위해 서버를 구축하려고합니다.

 

웹과 DB 운영환경은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1. 동시접속자 : 100명 이하

2. 하루 신규 (DB에)생성되는 데이터건수 : 100건이하

3. 하루 데이터(자료) 다운로드수 : 100건이하

4. 서비스의 40%정도는 정적인 HTML이고, 60%정도는 프로그램화된 페이지

 

위처럼 아주 작은 사이트인데요.

 

질문은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습니다.

 

1. 위의 환경에 적합한 서버의 하드웨어 사양(CPU,  메모리, 하드디스크, 전원장치등...)

2. OS는 어떤것이 적합한지.

3. 회선은 어느정도를 선택해야 하는지.

4. 위의 환경이라면, 웹서버와 DB서버를 따로 두는것이 적합한지.

5. 위의 환경정도를 운영하는경우에도 서버구축후에는 데이터센터에 입주하는것이 적합한지. 아니면 그냥 사무실같은 장소에 서버를 구축해놔도 되는건지.

 

궁금한것이 많네요. ^^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re: 웹서버 사양질문            casmari               답변채택률 59.1%                  2007.02.05 18:08

 

 1. 위의 환경에 적합한 서버의 하드웨어 사양(CPU,  메모리, 하드디스크, 전원장치등...)

    db 프로그램이 무엇이냐에 따라 틀려지며 다운로드 파일의 개당 요량도

    중요한 요소 입니다  일반 적으로 봤을때는 구형 제온급의 서버도 상관 없을듯

    합니다. 다만 일반 pc를 서버로 하지는 마시고 서버 전용 하드웨어들을

    사용해 주시면 됩니다 (cpu,보드, 하드등 일반용이 아닌 서버용으로 구축하세여)

 

2. OS는 어떤것이 적합한지.

 

    db와 연동이 쉬운 것으로 쓰셔야 하지요 ^^

    개발 환경이 리룩스 계열과도 상관 없다면 레드햇을 쓰셔도 됩니다

     다만 nt 계열이라면 윈도우를 쓰셔야 겠지요   

 

3. 회선은 어느정도를 선택해야 하는지.

     10m 급이라도 상관 없을듯 합니다만 대역폭은 좀 있어야 합니다

 

4. 위의 환경이라면, 웹서버와 DB서버를 따로 두는것이 적합한지.

    하나로 쓰시면 됩니다

 

    만약 추후에 다운로드가 주를 이루기 시작하면 따로 두는편이 좋습니다

 

 

5. 위의 환경정도를 운영하는경우에도 서버구축후에는 데이터센터에 입주하는것이 적합한지. 아니면 그냥 사무실같은 장소에 서버를 구축해놔도 되는건지.

 

     idc에 집어 넣으세여 아까도 말했지만 가정집에 들어오는 전용선은 속도는 빠를지

     몰라도 대역폭은 꽝입니다

      대역폭을 생각해서라도 idc에 집어 넣으시는 편이 좋습니다

 

 

 

이정도 회선에 서버라면 방문자 얼마정도 커버되죠?    battlehera   2004.11.05 15:55   답변1  조회186

장기적으로 운영할 계획은 전혀없구요

 

길어야 일주일입니다

 

펜티엄 3 750

램128 sd

하드 20g..

 

서버는 엔토피아인데요

 

다운로드는 보통 초당 2메가 받구요

웹하드같은데에서 최적화 되면 초당 8메가까지 나오더라구요

 

업로드는 초당 1~2메가 나오구요

웹하드에선 3메가 나오더군요

다른 단위는 모르겠구요

 

하루에 접속자 몇명까지 가능할까요?

동시접속자랑......페이지 뷰는 한사람당 20페이지정도

다운로드 속도는 얼마정도 할까요?   

 

re: 이정도 회선에 서버라면 방문자 얼마정도 커버되죠?

      freepico7           답변 채택률 75.4%             2004.11.06 18:49

엔토피아는 업다운 약 70Mbps정도가 보장되는 인터넷 서비스입니다.

이IP로 서버를 운영하고자 하는것 같네요,,

 

일단 인터넷 회선 속도는 충분합니다..

그러나 서버로 사용하는 컴퓨터의 성능이 문제입니다.

 

램이 128메가면 OS돌리기도 부족합니다..

최소 512 정도로 올려야 충분합니다..

 

사용자가 접속을 했을때 서버의 동시 사용자 수를 결정하는게

CPU의 점유율입니다.

보통 CPU점유율을 60% 정도 이하만 사용을 합니다.

 

서버를 열어두고 CPU %를 체크해 보세요,

50% 정도 점유하는 사용자에 맞춰서 인원을 설정하면 될겁니다.

 

개별적 접수는 하루에 몇천명도 접속이 가능하고요

웹 서버라면 동시 접속자수는 500 명정도 가능할거 같고

다운로드 서버로 사용하면 10명도 힘들수 있습니다.

 

그냥 참고만 하세요

 

 

 

 

서버호스팅과 관련하여 회선서비스의 뜻?         hseok70       2009.06.01 16:13        답변1  조회172 

 

서버호스팅 서비스에서 회선서비스라는것이 있습니다.

 

여기서 "회선서비스 : 20메가 데디케이트" 라 했을때

 

무슨뜻인가여..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re: 서버호스팅과 관련하여 회선서비스의 뜻?       diys      답변 채택률 94.7%         2009.06.01 16:38

 

질문자 인사 : 정말 친절한 답변 감사드려요~

 

20메가 데디케이트라 하면.. 해당 서버에서 최대 20메가까지 사용할수 있도록 항상 20메가 할당해 준다는것입니다.

 

반대로 100메가 쉐어링.. 또는 100메가 공유라고 하면... 100메가로 최대 속도가 지정되어 있지만.. 이것은 다른 서버.. 다른 업체의 서버와 100메가를 공유하게 되는것입니다.. 그러므로 다른 서버에서 많은 트래픽을 사용할때에는 20메가.. 또는 그 이하의 속도가 나올수도 있다는것입니다.

 

즉.. 데디케이트는 님의 서버에 무조건 20메가가 할당되어 속도가 20메가까지 언제든지 날수 있도록 해 주는것이며,

 

쉐어링은 다른 업체 서버와 트래픽을 공유하므로 최대 속도가 다른업체의 사용량에 따라서 변할수 있다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