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나 당연한 웹 브라우저 상식 10가지, 이건 모를걸?
출처 : http://www.itworld.co.kr/slideshow/108213
불쌍한 웹 브라우저. 한때는 인터넷 애플리케이션계의 헤비급 챔피언이었지만 많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 모바일 기술, 스마트폰 앱이 브라우저의 자리를 대체했다.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브라우저는 단지 너무 당연한 존재가 돼 버린 것뿐이다. 하지만, 1996년처럼 새롭고 멋진 앱은 아닐지 몰라도 웹 브라우저는 데스크톱 웹 서핑에서 인터넷을 활용하는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다.
웹 브라우저에 대한 10개의 퀴즈를 풀어보면서 매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는지 확인해보자. editor@itworld.co.kr
HTML은 무엇의 약자인가? • Hardcode Modular Linux • Heuristic Media Layer • Hypertext Markup Language • Handsome Macedonian Lawyers
정답: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은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이라는 인터넷층을 위한 기본적인 구축 블록 기술 중 하나다. 이 컴퓨터 언어 시스템은 사용자 쪽의 소프트웨어인 웹 브라우저가 전 세계의 원격 서버가 제공하는 지시사항을 이해하고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HTML은 프로그래밍 언어라기보다는 마크업(Markup) 언어이며 온라인 콘텐츠를 더욱 잘 표시하고 정리할 수 있다. HTML의 발명으로 웹 페이지가 지금은 구식 공상 과학에서나 보이는 텍스트 전용 인터페이스에서 벗어나 하이퍼링크 등의 양방향 기능과 함께 결국 이미지, 사운드, 움직이는 고양이 GIF 등의 다른 요소도 통합할 수 있게 되었다. 보너스 상식: HTML은 나머지 월드와이드웹 시스템 표준과 함께 영국의 엔지니어 팀 버너스 리, 유럽 핵 연구기관(European Organization for Nuclear Research, CERN) 소속 연구자가 발명 및 개발했다.
최초의 웹 브라우저는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동했는가? • 맥킨토시 클래식(Macintosh Classic) • 넥스트 컴퓨터(NeXT Computer) • IBM PC • 코모도르 64(Commodore 64)
정답: 넥스트 컴퓨터(NeXT Computer) 일반적으로 월드와이드웹의 창시자라 일컬어지는 버너스 리는 1990년 당시 최신 워크스테이션 기기 중 하나였던 넥스트 컴퓨터 시스템에서 최초의 브라우저를 개발했다. (그림은 그가 사용했던 컴퓨터다). 기발한 이름(WorldWideWeb, 이후 넥서스로 변경)을 가진 원본 프로그램은 브라우저와 편집기의 기능을 제공했다. 버너스 리와 그의 협업자들은 프로그램을 점진적으로 발전시켜 유닉스(UNIX)와 MS-DOS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했다. 보너스 상식: 넥스트는 1995년 스티브 잡스가 설립했다. 아마 들어 본 적이 있는 이름일 것이다.
1990년대의 브라우저 전쟁에서 대결한 2개의 주요 경쟁 시스템은 무엇이었는가? • 인터넷 익스플로러 vs.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 모질라 파이어폭스 vs. 구글 크롬(Google Chrome) • 애플 사파리 vs. AOL 익스플로러 • 모스라 vs. 메차고질라
정답: 인터넷 익스플로러 vs.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1995년 즈음에는 월드와이드웹이 주류 문화로 자리 잡으면서 브라우저 1차대전이라고도 불리는 브라우저 전쟁의 서막이 올랐다. 본래 모자이크 다중 플랫폼 브라우저에서 발전한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는 1996년 시장의 80% 이상을 장악했다. 향후 5년 동안 마이크로소프트는 도트라키 군 등의 분야를 종횡무진하면서 윈도우 운영체제의 범용성을 등에 업고 사용자를 확대했다. 보너스 상식: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2002년에 96%로 웹 브라우저 시장 점유율 정점 찍었다.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는 2015년부터 윈도우 10에서 기본 브라우저로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대체했고 구글 크롬에 왕좌를 내주었다.
초기 코드명이 피닉스(Phoenix)였던 신흥 오픈 소스 브라우저는? • 파이어폭스 • 크롬 • 오페라 • 마이다스
정답: 파이어폭스 2004년 11월에 공식 출시된 오픈 소스 파이어폭스 1.0 브라우저는 수 천 명의 자원 봉사 프로그래머들이 수 년 동안 흘린 땀의 결정이었다. 본래 “피닉스”라는 코드명으로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차세대 브라우저, 개발 툴, 기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오픈 소스 계획인 모질라 프로젝트의 일환이었다. 파이어폭스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보다 훌륭하고 가벼우며 빠른 인터넷 경험을 약속했고 1년 만에 다운로드 수가 1억 회를 돌파했다. 보너스 상식: “마이다스”는 오리지널 월드와이드웹 브라우저의 초기 파생물이었다.
URL은 무엇의 약자인가? • Unified Response Locator • Uniform Resource Locator • Universal Reset Logarithm • Unitard Robot Lobster
정답: Uniform Resource Locator 이것을 기억하는 것도 이상하지만 월드와이드웹 이전에는 고양이가 키보드에 또 올라갔을 경우에만 디스플레이에 “http” 또는 “www”가 표시되었다. 이제 이 범용 문자열은 전 세계적으로 웹 주소로 잘 알려진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의 요소로써 인식되고 있다. 버너스 리는 초기에는 나머지 월드와이드웹 시스템과 함께 URL 표준을 개발하여 수립했다. URL의 구조는 지금까지도 거의 바뀌지 않고 있다. 보너스 상식: 버너스 리는 이후 도메인 이름에 점을 사용한 것을 후회하며(“www.whatever.com”) 대신에 슬래시를 사용해야 했다고 말했다(“www/whatever/com”). 닷컴 버블이 아니라 슬래시컴 버블(Slashcom Bubble)이 존재하는 평행 우주도 있을 수 있다.
월드와이드웹 외에 어떤 이름이 후보에 올랐을까? • 정보의 광산(Mine of Information) • 정보 광산(The Information Mine) • 정보 그물망(Information Mesh) • 모두
정답: 모두 WC3(World Wide Web Consortium)의 FAQ 문서에 따르면 버너스 리는 처음에 자신의 글로벌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을 명명할 때 몇 가지 옵션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그는 “정보 광산”과 “정보의 광산”을 특정 집단 내에서만 사용하는 두문자어 코드(“TIM” 및 “MOI”)로써 고려했었다. 그는 시스템의 국제적이며 분산된 속성을 강조하기 위해 “월드 와이드”를 선택했고 “웹”은 이 새로운 종류의 네트워크의 실제 수학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보너스 상식: 메리엄 웹스터에 따르면 “월드와이드웹”이 영어 사전에 수록된 해는 1990년이다.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 “스팸(spam)”, “공부밖에 모르다(geek out)” 같은 새로운 단어도 이 해에 함께 수록되었다.
구글 크롬은 현재 세계 브라우저 시장의 대략 몇 %를 점유하고 있을까? • 6% • 60% • 66.6% • 3.1415%
정답: 60% 최근 인터넷 기술 통계를 추적하는 독립적인 분석 기업 넷 애플리케이션이 공개한 수치에 따르면 구글 크롬은 현재 데스크톱 브라우저 시장의 약 60%를 점유하고 있다고 한다. 파이어폭스는 한 때는 헤비급 챔피언이었지만 이제는 레거시(Legacy) 시스템이 되어버린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공동으로 한참 떨어진 13%를 차지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최신 브라우저인 엣지는 4%를 기록하고 있다. 보너스 상식: 마이크로소프트는 2015년에 윈도우 10 엣지 브라우저를 내놨고, 대부분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자들은 크롬으로 전향했다.
최초의 인기 웹 브라우저인 모자이크가 내놓은 혁신은 무엇이었는가? • 이탤릭 글꼴 • 인라인(Inline) 이미지 • 적외선 색상 • 자동사
정답: 인라인(Inline) 이미지 25년 전인 1993년의 1월, 마크 안드레센과 협업자 팀은 모자이크 브라우저의 첫 번째 판을 공개했다. 모자이크가 최초의 웹 브라우저는 아니었지만 일반 대중에 처음으로 그 개념을 전파했다. 이 프로그램은 여러 가지 혁신적인 기능이 적용되었지만 무엇보다도 텍스트와 이미지를 같은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었다. 그 이전에는 하이퍼링크에서 이미지에 액세스하고 사진이 별도의 창에 표시되는 방식이었다. 보너스 상식: 가정 사용자들을 위해 모자이크의 공식 1.0 릴리즈가 몇 개월 후인 1993년 4월에 공개되었다.
여전히 사용 및 개발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웹 브라우저는? • 링스(Lynx) • 바이올라(Viola) • 옴니웹(OmniWeb) • 므두셀라(Methuselah)
정답: 링스(Lynx) 링스라는 텍스트 기반 웹 브라우저도 올 해 25주년을 맞았다. 본래 캔자스대학교의 학생들이 개발한 링스는 처음에 캠퍼스 정보를 배포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1993년 링스 2.0 릴리즈는 완전한 기능을 갖춘 웹 브라우저가 되었고 아직도 사용되고 있다. 2017년 12월 현재까지도 소규모 자원 봉사자들이 유지보수와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보너스 상식: 링스는 간소한 텍스트 전용 디자인 덕분에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표시 및 텍스트-음성 프로그램에 적용되었다.
온라인에 최초로 게시된 사진은 무엇이었나? • 자유의 여신상 이미지 • 거미줄 사진 • 인기 밴드 홍보 사진 • 귀여운 고양이
정답: 락 밴드 홍보 사진 구전 지식이라 시점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인터넷 범례에 따르면 월드와이드웹에 처음으로 업로드된 사진은 CERN의 여성 직원들이 만든 참신한 인기 밴드인 Les Horribles Cernettes의 사진이었다. 월드와이드웹 시스템 표준과 프로토콜의 발명가인 팀 버너스 리가 포토샵 첫 번째 버전으로 이 사진을 편집해 게시했다. 보너스 상식: 이 밴드의 물리학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에는 전자파 사랑(Microwave Love), 액화 질소(Liquid Nitrogen), 나의 사랑 노벨상(My Sweetheart is a Nobel Prize)과 참신한 댄스 히트곡 웹 서핑(Surfing the Web)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