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과 관련한 몇가지 지식(?)들
ㅇ네트워크 특정 지역에서 끊김 현상
- 무선이동통신은 이론적으로 완벽한 AIR환경에서도 1%내외의 호절단이 있습니다.
- 경계구간.. 이게 사실 호가 끊김의 가장 많은 경우인데요.
기지국 경계구간, RNC(3G) 경계구간, 교환기 경계구간 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흔히 어디서는 항상 끊긴다고 해서 보면 이러한 경계구간이 많구요..
지하철역 어디와 어디 사이에서 매번 전화가 끊기는 지역이라든가 하는 것은 통신사마다 다 있습니다.
다만 통신사마다 교환기나 RNC 권역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신도림~ 대림 은 어느 통신사에서는 경계구간이나 다른 곳은 아니고 하는 차이만 있을 뿐입니다.
=>통신사마다 지역만 틀릴 수 있을 뿐, 자주 끊기는 위치는 존재함
ㅇ배터리가 금새 소모되는 현상
(단말이나 어플의 문제가 없다고 가정합니다.)
- 3G보다 LTE가 배터리 소모가 큽니다. 데이터 속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 중에 안테나를 여러개 활용하는 기술이 있음.
- 기지국의 신호가 약한 곳이면 배터리 소모가 큽니다. 기지국 신호가 약할 경우 단말은 전파 송출 파워를 늘려서 기지국과의 신호가 끊기지 않거나 원할하게 하려 하기 때문입니다.
- 기지국의 경계구간이면 배터리 소모가 큽니다. 단말은 통신은 1개의 기지국과 하지만, 항상 3~4개 이상의 기지국을 차선책으로 확보하려고 합니다. 이동하면서 더 신호가 좋은 기지국으로 바꿔타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엇비슷한 여러개를 가지고 있다면 이리붙었다 저리붙었다 하면서 배터리를 소모합니다.(안테나가 풀로 차있어도 배터리가 빨리 닳는 이유입니다. 신호 세기기 비슷한 기지국이 주변에 여럿 있어도 배터리가 빨리 소모될 수 있습니다.)
- 위와 같은 이유로 거실에서는 멀쩡하고 방에서는 빨리 닳고 할 수 있습니다. 최적의 위치는 잘~ 찾으면 됩니다.(단말이 잡고 있는 기지국을 보여주는 어플을 활용하면 좋음)
- 네트워크 안테나도 풀이고 단말이나 어플에 아무 문제 없는데 집에서 배터리가 빯리 닳는다 싶으면 집 안에 중계기나 펨토기지국을 설치 하시면 됩니다.(신호 세기가 강한 하나를 잡으면 좋아지기 때문)
ㅇ 3사의 LTE에 대해서..
- LG : CDMA /LTE 듀얼밴드인데 LTE망과 CDMA망에 모두 접속해 있습니다. CDMA망에 항상 붙어있기 때문에 음성호가 빠르게 이루어 집니다. 단점은 두 망을 동시에 잡고 있기에 배터리 소모가 큼.(타사보다 배터리 소모가 큰거지 많이 차이나지는 않는다함)
- KT/SKT : WCDMA/LTE 듀얼밴드로, LTE망을 잡고 있다가 음성 시도에만 WCDMA 망을 잡습니다.(LTE가 안잡히는 곳은 제외). 망을 옮겨가고 하는 과정 때문에 음성호가 이뤄지는게 다소 딜레이가 있습니다. 배터리 소모가 LG보단 적음.
ㅇHD보이스(VoLTE) 관련
- LTE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로 IP패킷을 이용한 VoIP로 생각하시면 됩니다.(통신사가 과금을 분단위로 할 뿐임)
- 단말에서 HD보이스 기능을 키면, 무조건 발/착신 모두 LTE망을 통하게 됩니다.(LTE가 안되는 경우 제외) =>상대가 3G이든 타사이든 나는 LTE망으로 통화한다는 이야기임.
- HD보이스를 선택해서 음질이 좋은 경우는 양방향 모두 같은 통신사에 HD보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상대방 단말이 HD보이스가 아니거나, 타사일 경우에는 나는 LTE망에서 IP패킷으로 음성통신해도 상대방은 3G 음성통화이므로 음질은 3G와 동일합니다.(같은 통신사의 인터넷 전화와 통화할 때도 HD보이스가 적용되어 음질이 좋은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 HD보이스 3사 연동은 언제될지는 잘 모르겠으나, 겉으로 도는 이야기와는 양상이 조금 다른 상황도 있음.
ㅇHD보이스(3G HD보이스) 관련
- 통신사가 이름붙인 HD보이스는 2종류가 있는데, 위에서 이야기한 VoLTE랑 3G HD보이스가 있습니다. 3G HD보이스는 LGU는 당연히 안됩니다.(3G망이 없으므로)
- 3G HD보이스는 아이폰5가 들어오면서 KT랑 SKT가 시작했는데, 3G망을 이용하는 것은 일반 통화와 동일하나 코덱을 음질이 좋은 코덱을 사용합니다. 당연히 양쪽 모두 3G HD보이스를 지원하는 단말이여야 음질이 좋은걸 느낄 수 있습니다. 아이폰5와 일부 국산 단말들이 지원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 VoLTE와 3G HD보이스와 음질을 비교하면 VoLTE가 더 좋습니다만, 그 차이를 느끼는 인간은 드물 정도;;(대역폭은 동일하나, 전송율이 VoLTE가 2배 정도 좋습니다.)
- 3G HD보이스 지원 단말과 VoLTE간 통화 시에도 음질은 좋아짐.(물론 양방향 같은 통신사여야 함)
ㅇLTE-A 관련
- 우선 LTE와 LTE-A를 구분하자면...
LTE는 하향(다운로드) 최대 100Mbps를 지원하며, 주파수 대역은 최대 20Mhz를 사용합니다. (기술적으로는 3.9세대이나 4세대로 마케팅할 뿐입니다.)
- LTE-A는 하향(다운로드) 최대 1Gbps를 지원합니다. LTE-A를 하기 위해서는 20Mhz 이하의 주파수를 CA를 활용하여 속도를 높이거나, 20Mhz 대역 이상의 단일주파수를 활용하여 속도를 높이면 됩니다.
- MC : 멀티 캐리어 기술은 최대 속도가 증가되는 기술은 아니며, 가입자를 분산해주어 각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 혼잡을 막는 효과를 냅니다. 각 주파수 대역의 사용자가 적어지면 속도나 쾌적함은 올라가겠지요.
SKT는 850M, 1.8G 주파수에서 적용하며, LGU는 850M, 2.1G에서 적용 중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KT는 900M, 1.8G에서 적용하여 상용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CA :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기술은 떨어져 있는 주파수 대역을 합쳐서 최대 속도를 증가시키는 기술입니다.(WiFi의 채널본딩과 같은 개념임)
- 주파수 경매는 어떻게 결론이 날지 모르겠으나, 키는 SKT가 잡고 있는 거 같습니다. SKT는 밴드플랜1과 밴드플랜2 모두에서 최대로 활용가능한 주파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단지 KT가 인접한 1.8Ghz를 먹는게 싫은 뿐이지요. 자세한 내용은 관련 기사도 많고 길어서 설명은 힘들지만, SKT가 어케 나오냐에 따라서 LGU와 KT가 웃네 마네 할 거 같습니다.
관련기사 참고하세요..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106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