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최적화!
1. 검색엔진을 위한 홈페이지 최적화란?
검색엔진들은 인터넷에서 링크를 타고 떠돌면서 웹 문서를 수집하는 검색로봇을 통해서 여러분의 홈페이지의 특정한 정보를 수집해 간다. 로봇은 링크를 타고 홈페이지의 다른 웹 문서도 수집해 간다. 로봇이 웹 문서를 수집할 때 모든 데이터를 가져가는 것은 아니다. 페이지의 상단에 위치한 <TITLE>태그와 <META>태그의 Description, Keywords 와 같은 검색등록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해가고 페이지의 일부 내용도 수집해 간다.
특히 <TITLE>태그와 <META>태그(Description, Keywords)는 검색엔진의 상위등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검색엔진을 위한 홈페이지 최적화란 자신의 홈페이지를 검색엔진에 효과적으로 검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관련 태그를 수정하고 수정된 데이터를 검색로봇이 수집하여 검색엔진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2. 홈페이지 최적화의 가능성과 한계
국내의 검색엔진은 홈페이지 등록 시 내용을 검색의 데이타로 제공하는 반면 구글, 야후를 비롯한 미국 검색엔진은 검색 로봇이 수집한 웹문서 중심으로 검색되게 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홈페이지 최적화가 크게 도움되는 것은 아니나 구글이 한글서비스를 하고 있고 네이버 등 국내 검색엔진에서도 웹문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있기 때문에 최적화 작업해 놓는 것이 좋다.
검색엔진 상위 등록은 <TITLE>, <META>태그 외에 홈페이지의 인기도 등 여러 가지가 고려되기 때문에 단지 검색엔진을 위한 최적화를 시도만으로 검색엔진 상위 등록이 보장되는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런 검색엔진 최적화 작업은 홈페이지 마케팅의 기본적인 것이고 최소의 노력으로 홍보가치가 있다면 굳이 안 할 이유가 없다. 홈페이지 최적화는 단 한번의 작업으로 영원한 마케팅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닌가.
3. 홈페이지 최적화 내용 확인과 작업하는 방법
현재 당신의 홈페이지의 최적화 상태에 어떻게 되어 있는지 간단히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자신의 홈페이지를 방문 후 인터넷 브라우저의 상단 메뉴에서 [보기]->[소스]를 클릭하면 워드패드를 통해서 홈페이지 타이틀(title태그)과 설명문구(description), 키워드(keywords) 등이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 사진 참조 )
위에 말한 방식으로는 단지 소스만 볼 수 있을 뿐 수정은 불가능하다. 소스를 수정하기를 원한다면 FTP접속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FTP를 다룰 줄 모른다면 홈페이지 제작업체에 요청하는 수 밖에 없다. 여기서는 HTML을 수정 가능한 것으로 가정하에 설명하겠다.
4. 홈페이지 최적화의 키포인트
1) 전략적인 키워드를 찾아라.
검색엔진 상위 등록을 위한 전략적인 키워드를 찾아야 한다. 홈페이지에서 중요한 키워드를 추출 후 검색 사이트에서 직접 입력해서 결과를 확인해 본다. 검색된 웹문서 수가 많다면 해당 키워드는 검색엔진 상위 등록을 위한 전략적인 키워드로서 부적합하다.
좀 더 세분화시켜 키워드를 추출해 보자. 예를 들어 ‘보험(38,800,000건)’이란 키워드는 인기 키워드인 만큼 웹페이지 수도 많다. 세부 키워드인 ‘자동차보험(3,650,000건)’은 웹문서의 수도 헐씬 적어지므로 검색 가능성도 높여준다. ‘자동차 보험 비교 견적(1,630,000건)’은 더 적은 웹문서의 양이 검색된다. 세부키워드로 갈수록 경쟁업체와 키워드 경쟁에서 피할 수 있고 웹문서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검색될 확률을 높여준다. 이런 키워드가 조회수가 적은 것도 아니다. 조회수가 높고 웹문서의 양이 적은 전략적인 키워드를 찾아서 삽입해 넣는 것이 홈페이지 최적화의 중요한 작업이다.
2) 검색엔진의 특성을 고려하라.
중요한 키워드일수록 앞쪽에 넣어야 한다. 세부 키워드는 단순 나열보다 검색을 고려해서 나열하라. ‘자동차보험, 자동차보험료, 보험자동차’는 엄연히 다른 키워드이다. 공략하고 하는 키워드를 명확하게 하라. 키워드가 반복된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또한 페이지의 앞쪽에 중요한 키워드가 많이 삽입하는 것이 좋다.
3) 서브페이지도 최적화를 시도하자.
홈페이지 최적화는 메인페이지만 하는 경우가 많은데 가능하다면 서브페이지도 최적화 작업을하여 검색엔진에 웹문서가 검색에 잘 걸릴 수 있도록 하자.
4) HTML을 단순하게 작성하자.
웹문서가 복잡하다면 검색로봇이 중요한 키워드를 수집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을 사용할 경우 검색로봇이 웹문서의 데이터를 적절히 수집하지 못할 수 있다. 되도록 프레임은 피하자. 프레임으로 홈페이지가 제작되어 있다면 <noframeset><body>내용</body> </noframeset>을 사용해서 검색로봇이 데이터를 수집해 갈 수 있도록 만들어 주자. <noframeset> 안에는 중요한 키워드와 <a href=""></a>태그를 사용하여 검색로봇이 홈페이지 내에 다른 웹문서도 링크를 통해서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자.
5. 홈페이지 최적화를 위한 작성법
1) <TITLE>보험상품은 보험119</TITLE>
<TITLE>웹문서의 제목을 넣은 태그로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를 입력해 넣는다. 키워드가 반복된다면 더욱 좋다. 세부 키워드는 아래의 설명문구와 키워드 관련 메타태그에 삽입해 넣으면 된다.
2) <META NAME="Description" CONTENT="보험상품 정보, 자동차보험료 비교견적, 보험가입, 보험 관련 상식 등의 서비스">
웹문서를 설명하는 문구를 넣는 태그이다. 중요한 키워드를 설명식으로 삽입해 넣는다.
3) <META NAME="Keywords" CONTENT="보험, 자동차보험, 자동차보험료, 자동차보험비교, 보험비교, 보험료, 보험금, 다이렉트보험, 다이렉트자동차보험, 생명보험, 건강보험, 어린이보험, 여성보험, 여행보험, 암보험">
키워드는 쉼표(,)로 구분하여 원하는 만큼 입력해 넣을 수 있다. ‘Title'과 ‘Description'에 넣지 못한 세부 키워드는 ‘keywords’에 충분히 넣을 수 있다.
보험과 자동차가 자주 반복된 것을 볼 수 있다. 검색엔진 상위 등록을 위한 전략적인 키워드를 선정했다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반복 사용하여 검색로봇이 해당 키워드에 대해서 웹문서에 대해서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도록 해야 한다.
2) <B>내용</B><FONT color(size)=''>내용</FONT>
웹문서 수집 로봇은 <b><font>와 같은 태그에 포함된 내용을 일반적인 내용보다 좀 더 중요하게 여겨서 검색에 반영시킨다.
3) <IMG ALT="키워드1, 키워드2, 키워드3" SRC="xxx.gif">
웹문서가 이미지로 채워져 있다면 검색로봇이 웹문서의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적절하지 못하다. 이미지에는 문서를 설명할 수 있는 ALT=‘’에 이미지에 대한 키워드를 넣어 검색로봇이 수집에에 반영되도록 한다.
4) 지도를 가급적이면 삽입하라~
지금까지 검색엔진 등록을 위한 최적화 작업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홈페이지 최적화는 전략적인 키워드를 찾고 검색엔진의 특성을 고려한 작업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