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unyzero.tistory.com/245
이 테스트는 리눅스 옛날 명령어만 알고 있는지, 아니면 대체된 새로운 명령어도 알고 있는지 알려줍니다.
deprecated된 옛날 명령어(일명 아재명령어 or 할배명령어)만 알고 있다면 이제 새로운 명령어와 기능들도 열심히 배우도록 합시다.
* 사용방법
아래 명령어나 기능 중에 a가 가장 오래된 기능이고, 이후 보기들(b,c,d)은 대체된 새로운 기능이거나 명령어입니다.
예를 들어 문항에서 a, b, c를 모두 알고 있다면 최근 새로운 기능까지 모두 알고 있는 것입니다.
==================================
1. shell script를 읽어오는 명령 (subshell 실행이 아님)
a) . ~/module.sh
b) source ~/module.sh
점(dot)만 쓰고 source를 모르고 있다면 마음은 이미 아재 리눅서입니다.
==================================
2. vim에서 문서 저장하고 종료하는 명령
a) :wq
b) :x
c) ZZ
:wq만 사용하는 분보다 더 아재인 분들은 습관적으로 :wq! 까지 붙여서 사용합니다.
이제 좀 더 최근 명령어인 ZZ를 사용합시다.
세 명령어 모두 vi에 있었던 명령어라고 합니다.(송민철님이 알려주셨습니다.)
그냥 이 문항은 별 의미는 없고 그냥 재미로 봐주시기 바랍니다.
==================================
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라우팅, 설정 관련 명령어
a) ifconfig, route
b) ip
c) nmcli
몇 년 전부터 nmcli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설정 합니다.
/etc 밑에 있는 설정파일을 직접 에디터로 수정하는 것은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의 옛날 방식입니다.
==================================
4. 데비안 계열 패키지 설치 명령어
a) 패키지가 뭔가요? 설치라면 무조건 make; make install로 해결한다.
b) dpkg
c) apt-get, apt-cache
d) aptitude
d) apt
아직도 중간에 - 를 타이핑하기 위햇 apt-get, apt-cache를 타이핑하시나요?
아예 X윈도우에서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신다고요? 실제 실무 환경에서는 X윈도우를 쓰지 않기 때문에 실무에서는 불가합니다.
==================================
5. 레드햇 계열 패키지 설치 명령어
a) 패키지가 뭔가요? 설치라면 무조건 make; make install로 해결한다.
b) rpm
c) yum
d) dnf
dnf는 차세대 방식이므로 2016년을 기준으로 아직은 몰라도 상관은 없습니다. 그러나 yum은 잘 사용해야겠지요.
간혹 X윈도우를 사용하면서 packagekit와 충돌나는 경우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당신은 리눅스 초보입니다.
==================================
6.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a) netstat
b) ss
netstat은 이제 ss로 대체되었습니다.
아직도 netstat 명령을 사용한다면 할배 리눅서를 인증하는 셈입니다. 어서 빨리 ss를 사용하세요.
==================================
7. bash 쉘에서 수식 계산하는 명령어
a) expr
b) $(...)
c) let
expr은 지금 완전히 사라져서 쓰지 않는 명령어 중에 하나입니다.
아직도 쓰고 있다면.... 음 새롭게 다시 공부하셔야 합니다.
==================================
8. 서비스 제어 명령어
a) service
b) systemctl
service는 과거 SysV init 구조에서 사용하던 명령어입니다.
이제 새로운 리눅스는 전부 systemd 기반에서 작동하므로 systemctl 명령을 사용합니다.
systemctl 외에 journalctl, loginctl, hostnamectl, timedatectl, localectl, machinectl 등 자매품도 있습니다.
==================================
9. 패킷 캡처 명령어
a) tcpdump
b) wireshark, tshark
배움에는 육체적인 나이보다 새로운 것을 빠르게 받아들이는 정신적 나이가 더 중요한 법입니다. 과거의 기술만 알고 새로운 것이 나왔는지 찾아보는 노력이 없다면 아무리 어려도 정신적인 나이는 할배가 됩니다.
그러나 재미를 위해 만든 셀프 테스트이므로,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거나 자학할 필요는 없습니다. 모르면 새로 배우면 되죠. ^^
그냥 생각나는대로 썼기 때문에 나중에 다른 기능들이 추가될 수도 있습니다.
* History
2016-11-22 source 와 dot 명령어의 잘못된 설명 반영, vi 명령어에 대한 잘못된 설명 반영 (송민철님의 제보)
2016-11-21 초안
'프로그램개발 > Linux(Apache.v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고]아파치 TIME_WAIT 갯수가 25000개를 넘어가는 현상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0) | 2017.02.23 |
---|---|
웹서버 자동설치 프로그램 참고 (0) | 2016.12.03 |
SSH - 자동으로 연결이 끊길 때 (0) | 2016.02.02 |
업무 경험을 바꿔줄 멋진 리눅스 앱 7가지 (0) | 2015.03.24 |
Sublime Text Package Install이 제대로 않될때 (0) | 201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