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okky.kr/article/668748
새해를 맞아
헬스클럽을 찾는 직장인처럼
개발자에게 동업하자는 소위 스타트업 창업가들이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꾀임에 넘어가 시간도 날리고 몸도 버리고 하는 순진한 공대출신 분들이 많아지시는거 같네요
하지만 IT개발자라면
나도 내 기술로 내 사업을 해서 신생 스타트업의 창립맴버가 될거야 하는 꿈이 있으시겠죠.
그래서
다른 분들이 보시기엔 별거아닌 경력이고 모자라지만,
실제 창업도 해보고 사업도 해봤고
IT사업기획 업무도 한 현직자 입장에서 필터링하는 방법 말씀드리겠습니다.
1. 사장하겠다는 사람의 경력
이게 뭔가 현직에서 오래 굴렀다거나 나이가 중요하거나 그런게 아니고요.
타이틀 부분을 말씀드리는겁니다.
스타트업의 경우 사장의 신용도가 곧 기업의 신용도가 되는데요.
이건 그냥 믿을만한 사람이다가 아니고 신용도 평가로 나오는 부분입니다.
자금조달에 영향을 주기때문입니다.
예를들면 카이스트나 서울대 출신 석박 3명이 모이면 묻지도 않고
10억투자한다라는 이야기가 있어요.
아니면 업계 오래있었고 경력이 창업으로 내세울만 해야합니다.
대학생이면 최소 대학생 창업 대회에서 우승하거나 하다못해
소규모 해커톤 등 이벤트 수상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2. 아이디어는 가치가 1도 없다 (사업의 구체화)
뜬구름 잡는 이야긴 누구나 할 수있고 PPT 몇장 만드는건 일도 아닙니다.
어디에도 없는 아이디어라고 주장하는 사람이고
실체가 없는 자신의 아이디어 가치를 되게 높게 평가하는 사람이 있다면 걸러도 무방합니다.
어디에도 없는 아이디어가 아니고 그냥 벤치마킹과 시장 분석을 제대로 안한거고,
어디에도 없는 아이디어면 그걸 구현할 기술도 어디에도 없습니다.
아이디어가 없어서 사업못하는게 아니거든요.
아이디어 제품화랑 사업 성공은 다른 영역이죠.
3. 사장의 기술 가치평가
조달된 자금없이 5대5 이하로 이야기하는 사람은 묻지도 따지지도말고 걸러도 되요.
실제 웹서비스해보시면 Mass 시장에서는
사람들이 뭔가 기능이 좋다고 해서 그 사이트 들어오는게 아닙니다.
서비스가 참신해도 사람들은 사용안해요.
마케팅이 필요한거지요. 그건 돈이 드가거나
몇십년이상의 오랜시간이 필요한거죠.
이거 이해 못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쿠팡같은 사업 모델이 어려운 모델인가요?
그건 아니죠...
조단위 적자 보면서도 수행할 수 있는 자금력이 중요한거지.
그리고 사업초기에 배민 치킨 1000원 이벤트
옥션 경매 10달러 무상지급 이벤트에 얼마나 돈이 들였으리라고 생각하십니까...
트래픽이 공짜로 늘어나는 경우는 없습니다.
4. 동업자는 프리라이더인가 아닌가(산출물)
개발해보시면 알겠지만 간단한 웹서비스만드는 데도
순수 개발만 몇달걸려요
그거 가치로 따지면 기회비용포함하면 몇천만원이상입니다.
내가 기획하고 니가 개발해라 할정도면
최소한 ppt 몇장이 아니라 사업계획서와 기획산출물을 들고와야해요.
예를 들면 타겟고객, 잠재시장 추산, 현재 시장현황, 사업전략, 비즈니스 모델 등 사업계획서
전체 다는 아니더라도 MVP관점에서 스토리보드와 화면설계정도는 나와야 해요.
이걸 제대로하면 기획도 한두달 넘게걸립니다.
창업하겠다는 본인이 시간 안들이고 안됨말고 하는데 말려들지마요.
시간은 금이고 제대로 된 개발자의 시간은 비싼 자원입니다.
사장이 해야할건 자금조달이 핵심입니다.
그리고 스타트업에서 중요한건 투자를 받는거라서 그걸 하기위해서 설득할자료가 있냐죠.
5. 사업하자는거지 대학생 과제 하자는 거아냐(사업 진행여부)
생각해보시면 사업에서 필요한건 근사한 웹사이트가 아닙니다.
작동하는 사업모델이지
예를 들어 배달 사업을 하겠다고 했으면
창업자에게 필요한건 근사한 배달앱이 필요한게 아니고
배민 사장님처럼 오토바이잡고 달리는게 더 우선순위가 높은 일입니다.
사장코스프레하는 창업자한테 넘어갈 필요 없습니다.
'프로그램개발 > IT 트렌드·팁·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티오·엔보이, '웹어셈블리' 도입한다 (0) | 2020.03.19 |
---|---|
악성코드 제거 mzk (0) | 2020.02.17 |
웹 개발자가 고단한 이유··· "대부분이 브라우저 문제" (0) | 2020.01.08 |
요기요, 국내 배달앱 1위 배달의민족 인수 (0) | 2019.12.13 |
2020년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워야 할까? (0) | 2019.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