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www.ciokorea.com/news/178284
서버측 웹어셈블리 런타임 ‘와스머’, GA 버전 공개
빠른 컴파일과 프로덕션-준비 성능을 제공하는 ‘와스머(Wasmer)’ 버전 1.0을 사용하면 네이티브 코드에서 컴파일된 범용 바이너리를 여러 호스트 플랫폼의 경량 컨테이너에서 실행할 수 있다.
www.ciokorea.com
빠른 컴파일과 프로덕션-준비 성능을 제공하는 ‘와스머(Wasmer)’ 버전 1.0을 사용하면 네이티브 코드에서 컴파일된 범용 바이너리를 여러 호스트 플랫폼의 경량 컨테이너에서 실행할 수 있다.
웹어셈블리 포터블 바이너리 포맷을 지원하는 서버측 오픈소스 런타임 ‘와스머’가 지난 1월 5일(현지 시각) GA 버전을 공개했다.
ⓒGetty Images
와스머는 소프트웨어 컨테이너화에 웹어셈블리를 활용하여 C++, 러스트, 고랭, 파이썬 및 다른 개발 언어로 컴파일된 범용 바이너리를 수정 없이 다른 운영체제와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할 수 있다.
와스머 개발팀의 사이러스 아크바리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런타임과 컴파일러 성능이 굉장히 뛰어나다”라고 언급하면서, “웹어셈블리 또는 짧게 말해서 Wasm이 소프트웨어 실행 및 컨테이너화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구성요소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와스머는 데스크톱부터 클라우드, IoT, 모바일 기기까지 다양한 플랫폼(리눅스, 맥 OS, 윈도우, 안드로이드, iOS)에서 웹어셈블리 기반 경량 컨테이너를 실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테이너를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 임베디드할 수 있다. 또한 와스머 런타임은 엔진엑스(Nginx) 웹 서버와 다른 웹어셈블리 모듈을 실행할 수 있다.
와스머 버전 1.0의 다른 기능은 다음과 같다.
• Wasm 파일을 미리 컴파일하기 위한 네이티브 개체 엔진
• IoT 사용 사례에 적합한 헤드리스 와스머(Headless Wasmer)
• 크로스 컴파일
• 확장 가능한 API
• Wasm-C-API 지원
• 오류 처리 및 디버깅
• 프로덕션 준비 성능
• JIT ‘폭탄(bombs)’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고속 컴파일 시간에 적합한 ‘단일패스(Singlepass)’ 컴파일러를 비롯해 크레인리프트(Cranelift)와 LLVM 등의 플러그형 인프라가 지원된다.
• ARM 기반 애플 실리콘 하드웨어 지원이 지원된다. 와스머는 애플 실리콘에서 Wasm을 지원하는 최초의 비-해석 서버측 웹어셈블리 가상머신(VM)이라고 아크라리는 설명했다.
와스머 버전 1.0 CLI는 이곳(wasmer.io)에서 다운로드받을 수 있으며, 독립실행형 또는 임베디드형 언어로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와스머는 자바스크립트(JavaScript)가 노드.js(Node.js)를 지원하는 것처럼 웹어셈블리를 지원하겠다는 목표하에 2018년 12월에 처음 공개됐다. 컨테이너화에 와스머를 활용하면 웹 브라우저뿐만 아니라 리눅스, 맥OS, 윈도우를 포함해 어디서나 수정 없이 작동하는 범용 바이너리를 만들 수 있다. 웹어셈블리는 보안 실행을 위해 기본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샌드박스화하여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의 악성코드, 버그, 취약점으로부터 호스트 환경을 보호한다. ciork@idg.co.kr
'프로그램개발 > IT 트렌드·팁·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기호 읽는 법 (0) | 2021.01.21 |
---|---|
러스트용 비동기 런타임 ‘토키오’, 버전 1.0 공개 (0) | 2021.01.11 |
[디지털 라이프] 굿바이! 플래시 (0) | 2020.12.30 |
에버노트(Evernote) 버리고 조플린(Joplin) 넘어온 후기 (0) | 2020.12.29 |
개발자로 성공하는 단 하나의 방법.. (0) | 2020.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