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okky.kr에서 발췌
의견1
- model : 데이터에 대한 정보
- domain : 유효성이나 단순로직 포함, 비지니스 객체
- entity : 가저올 위치정보, 저장 위치정보 등 , 아이디(id)를 가져야 한다.
- dto : 단순 데이터 보관
- pojo : 단순한 정보 보관, 로직이 없다.
의견2
1. model: domain과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하고(모델링의 대상) 엔티티의 의미로 쓰이기도 합니다, MVC 에서 모델이라면 비지니스로직을 담은 계층을 말합니다.
2. domain: 클래스 유형을 말하는 것은 아니고 구현하려는 소프트웨어의 실체? 좀 설명이 어렵네요. 회원관리 소프트웨어를 만든다면 회원, 회원관리와 같은 개념이 도메인에 속합니다.
3. entity: 보통 데이터베이스의 로우하나와 매핑되는 식별자를 가지는 클래스 유형입니다.
4. dto: 데이터 전달 목적으로 메소드의 파라미터가 많아서 그것을 파라미터 목적의 클래스로 만든다거나 할때 쓰입니다
5. pojo: 이것도 클래스의 유형이 아닙니다. 어떤 프레임워크, 플랫폼에 구속되지 않고 순수 자바 로직으로 비지니스 로직을 구현한다는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입니다.
'프로그램개발 > IT 트렌드·팁·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크롬 브라우저 새버전 공개..."23% 빨라졌다" (0) | 2021.05.31 |
---|---|
넷플릭스의 독특한 퇴사문화 (0) | 2021.04.29 |
홈페이지 메인에 삽입한 유투브영상이 늦게 뜰때 (0) | 2021.03.26 |
자바스크립트vs자바··· 진정한 'WORA' 승자는? (0) | 2021.03.24 |
그 좋은 공무원도 관뒀다… IT개발자 학원으로 달려가는 직장인들 (0) | 2021.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