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세권의 형성 = 도시 化의 초석
역세권은 도시화로 가는 지름길 역할도 할 수 있으나 차별이 심하다.
비도시지역이 외면 받는 세상이다. 상대성이다.
예) 매매 위한 분할작업이 힘들다
역세권의 차별성
1. 역세권(only 주거용도)
2. 역세권(only 상업용도)
예) 지하철 2호선 방배역(주거위주의 행태보임)
강남역(상업지역이 대세를 이룸)
3. 역세권(only 공업지역)
예) 공단역 등
4. 녹지위주의 역세권(전원생활과 농경생활 모습이 역력함)
예) 중앙선과 경춘선 일부 역, 4호선 오이도역의 일부지역
역세권의 색깔은 다 다르다.
농도도 다르고 용도도, 지목도 다르다.
오해와 착각을 할 수 있는 요소이다.
'부동산 경매 > 부동산상식&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거래사고의 유형 및 원인 (0) | 2011.09.05 |
---|---|
가을 이사철 유의할 점 (0) | 2011.09.05 |
부동산 투자 상식 (6) 정보 (0) | 2011.07.11 |
전월세상한제는 서민을 두번 죽인다 (0) | 2011.07.10 |
헷갈리는 부동산 용어 모음. (0) | 2011.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