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lecture&wr_id=220119
글과 관련된 일을 하고 있습니다.
팁과 강좌, 사용기게시판에 여러 회원님의 좋은 글도 봅니다.
그런데,
'이런 표현은 이렇게 고치면 더 낫지 않을까?'
'이런 말은 안해도 괜찮은데.'
이런 내용들이 있어서 예를 들어 몇 가지 말씀 드려 볼까 합니다.
전제는,
'글이란 짧고 담백할수록 좋다' 입니다.
물론 말과 글은 다르고, 글 중 에서도 사용기랑 일기·편지는 다릅니다.
팁과 강좌, 사용기의 글들이 모두 '짧고 담백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되도록 짧고 담백해야 전달이 쉽고 중언부언하는 수고도 덜게 되죠.
한 마디로 '편한 글'이 됩니다.
1. '굉장히', '엄청', '제일 유명한' 이란 형용사는 객관성을 떨어뜨립니다.
어느 때부턴가 말이든 글이든 이런 표현들을 자주 쓰시더군요.
예능 프로그램에서 자기 감정을 과장하기 위해 쓰던 말이라 불편하게 봐 왔는데
주위 친구들도 이런 표현을 쓰는 걸 보고 꺼림칙합니다.
예를 들어 "그 사람과 나, 굉장히 친한 사이야" 이런 말을 입버릇처럼 하는 친구가 있는데
제가 듣기엔 언제든지 전화하면 달려 나와 새벽에도 술 한잔 할 수 있는 사이로 보입니다.
실제론 낮에도 전화 통화 어렵고 일년에 서너번 업무차 볼까말까 한 사이임에도 말이죠.
정확히는 "굉장히 친한 사람"이 아니라 그냥 "아는 사람" 같습니다.
어쨌든 '컴퓨터가 굉장히 느려졌다', '엄청 좋은 얘기를 들었다', '제일 유명한 식당이다'
모두 맞는 것처럼 보일 수 있는 말이지만 정확하거나 적확한 표현은 아닙니다.
물론 사석에선 이런 말을 쓰든말든 상관없습니다.
강좌란·게시판에도 이런 말을 쓰시든 안쓰시든 자유입니다.
다만 어느 게 글의 객관성을 더 높일 수 있을지 판단해보시면 좋겠습니다.
2. 군더더기 표현
실례를 들고자 게시판 내용을 바꿔서 수정해봤습니다.
○ 개인적으로 클라우드 중에서 xx를 자주 사용하는데 사진이나 동영상 위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클라우등 중 xx를 사용하는데 사진과 동영상 위주로 씁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나는' 이란 말은, 글에선 아예 안 쓰셔도 됩니다. '자주'란 말도 없어도 됩니다.)
○ 팁과 강좌, 사용기게시판 등에서 여러 회원님들의 좋은 글들도 자주 봅니다.
→ 팁과 강좌, 사용기게시판에서 회원님의 좋은 글도 봅니다.
(위에 썼던 글입니다.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복수를 나타내는 '들', '등'을 안쓰셔도 의미전달엔 문제가 없습니다.)
○ (운동은) 제일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고 힘도 들고 괴롭지만 그만큼 중요합니다.
→ (운동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고 괴롭지만 XX하니 중요합니다.
(힘이 드니까 괴롭지요. 하나만 쓰셔도 됩니다. 글 뒤에 XX하니 표현이 하나 더 들어갔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한참 뒤에 상기 사진과 같이 흠집이 나있는 부분을 발견하였고, 시간이 없어 a/s 센터 내방을 하지 못하다가 오늘 센터 방문하였고, a/s 기사의 과실로 무상 케이스 교체를 요구하였습니다.
→ 한참 뒤 위 사진에 있는 흡집을 찾았고, 오늘 AS센터를 찾아 "기사 과실이니 케이스를 무료로 교체해달라"고 말했습니다.
한자표현이 많아 보였습니다. 금일→오늘, 방문·내방→찾아갔다 쉽게 쓰셔도 됩니다.
오히려 전달이 더 잘되죠.
3. 원인이 어디에 있을까?
글보다 논리가 부족해 보이는 내용입니다.
"스마트폰 게임을 하는데 게임이 느리다. 이 스마트폰 꼬졌다"
이런 글들 가끔 눈에 보입니다.
스마트폰의 램, CPU 등 스펙이 문제일지,
스마트폰 OS가 문제일지,
제작사의 프로그램이 문제인지 명확치 않습니다.
(사실 제작사가 충분히 테스트 했다면 스펙 문제일 확률이 높습니다)
만약 인터넷 연결 게임이라면,
LTE망의 문제인지, 현재 연결된 무선인터넷 속도가 느려서 그런지 역시 명확치 않죠.
결국 추측성 글을 쓰게 됩니다.
공적이든 사적이든 잘 모르는 내용은 아예 안 쓰시는 게 낫습니다.
결론,
글은 짧게 쓰기가 더 어렵습니다.
초고를 길게 쓰고 나서
덕지덕지 붙은 비계 빼듯 글을 다듬습니다.
초고는 한 시간,
비계 빼는 데 두 시간 걸린 적도 있습니다.
클량 회원님들도 자꾸 훈련 하시면
담백하면서 간결하고
정보가 되는 정확한 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
정확하고 간결한 내용들로
강좌·사용기게시판이 풍성해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생활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세기 개발자들을 괴롭히는 12가지 윤리적 딜레마 (0) | 2014.04.29 |
---|---|
솜노트 2.0으로 100일간 배운 것들 (0) | 2014.04.29 |
전자책 누구나 쉽게 만든다…나모인터랙티브 `나모펍트리` 출시 (0) | 2014.04.28 |
세월호 참사 와중에 국회에서는 날치기 법안 통과 (0) | 2014.04.21 |
책을 쓰고 싶은 예비 작가가 꼭 알아야 할 기초 (0) | 2014.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