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램개발/안드로이드(android)

Android를 루팅 없이 데이터 백업/복원하는 Helium 사용법!

by 크레도스 2014. 5. 13.

출처:http://thdev.net/m/post/485


안드로이드를 루팅 없이 백업하는 어플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백업 어플이라고하면 티타늄 백업, MyBackup 등이 있습니다. 이런 어플은 루팅을 필요로 하고, 루팅이 되지 않는다면, 간단하게 접근 권한이 주어지는 프로그램들만 백업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소개해드릴 Helium은 루팅 없이!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다른 폰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안드로이드의 백업 권한을 가져와서 백업을 하기에 모든 어플을 백업 할 수는 없지만 대부분의 앱들을 백업할 수 있습니다.


소개하기 전에

 제가 가진 폰들은 모두 젤리빈 4.1 이상의 폰들로. 이 버전을 기준으로 Helium Premium으로 테스트 하였습니다. 하위 어느 버전까지 가능한지는 확인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Helium ?

 이 앱의 이름은 Helium 입니다. 이 앱은 루팅해 보신 분들은 한번쯤은 들어봤을 "clockworkmod" 라는 곳에서 만들었습니다. 참고로  clockworkmod는 recovery 패치를 통해 정식 롬이 아닌 롬이나 파일을 설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곳에서 루팅없이도 앱을 백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Helium"을 만들어서 마켓에 올려두었습니다.

 루팅을 필요치 않기에 약간은 복잡하게 시작해야 하며, 폰을 재부팅하면 매번 USB와 컴퓨터를 필요로하게 됩니다. 루팅이되었다면 이런건 불필요 하지만. 이번 글에서는 루팅이 되지 않은 폰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방법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이 내용은 제 주간대로 한번 작성해보았습니다. 동작하는 방식이 독특합니다. 명령어를 입력하여 앱의 권한을 획득하는데 자기 자신을 호출하여 권한을 획득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자기 자신을 호출하여 권한을 획득하는데 획득 한 이후에 백업가능한 어플들을 보면 100% 되는것은 아닙니다. 모든 어플이 되는것은 아니며, 제 생각으로는 앱을 개발할 때 AndroidManifest.xml에서 백업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은 백업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 권한을 허용하는 경우에 Helium에서 백업을 할 수 있어보입니다. 자세한 것은 소스코드를 본적이 없으니 알수는 없습니다.^^;


Helium 다운로드

 Helium은 유료 버전과 무료 버전 2가지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유료 버전에서는 Android to Android의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습니다. 무료버전에서는 로컬 디스크에 백업이 가능합니다.

 Helium - 무료 버전 : http://bit.thdev.net/16btJcZ

 Helium - Premium 다운로드 : http://bit.thdev.net/15GbFUR


루팅 없이 Helium 을 이용한 앱 백업 준비 작업

 루팅 없이 백업을 해야 하는데 사전 작업을 해줘야 합니다. 개발자 디버그 모드 허용, PTP 모드 허용(카메라 USB 연결), Helium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설치(윈도우, Mac OS X, Linux)를 해주어야 합니다.

 앱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안내 문구가 나옵니다. 루팅이 되어 있으시다면 아래와 같은 확인창 이후에는 루팅권한 획득의 창이 뜨겠지만 루팅이 되어있지 않은 폰은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1 단계로 PC와 USB를 연결해야 합니다. PC와 USB를 연결하기 이전에 "USB 디버그 모드"를 허용해야 합니다.

USB 디버그 모드 허용 방법

 시스템 설정 -> 개발자 옵션 -> USB 디버깅 허용 을 하신다음 USB를 연결하시면 됩니다.

 만약 개발자 옵션이 보이지 않으시면 시스템 설정 -> 휴대폰 정보 -> 빌드 넘버를 연속으로 두드려 보시기 바랍니다.


2 단계로 PTP 모드를 허용해야 합니다. PTP 활성화 버튼을 눌러서 USB 연결 모드를 PTP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카메라 데이터를 복사하는 모드로 PTP 모드를 허용하면 됩니다.


 이제 명령어를 입력하여 Helium에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아래 홈페이지를 접속하셔서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하셔도 되겠지만 윈도우 8인 저는 윈도우용 프로그램 설치가 안되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서 실행하였습니다.


 Helium 실행 프로그램 : http://clockworkmod.com/carbon 으로 접속하여 자신의 OS 용 프로그램을 다운 받으셔도 되겠지만 저는 설치가 안되어서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여서 실행하게 되었습니다.


 아래와 같은 명령어 입니다. 여기에 윈도우용 Helium 실행 명령어가 추가된 압축 프로그램을 추가하였으니 다운 받으셔서 run.bat를 실행해주시면 됩니다. 그외 리눅스와 맥용은 adb가 다르므로 실행할 수 없으니 adb를 다운 받으시거나 위의 Helium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run.bat를 실행하신 다음 꼭! 휴대폰에서 확인 창이 뜨기 전에는 종료하시면 안됩니다. (USB 설치는 각 폰 제조사나 Nexus 시리즈는 Google Drive를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Nexus 시리즈 USB 드라이브 : http://db.tt/NC0Vtkh9

 Helium 실행 프로그램 - windows : http://db.tt/BGWoXeMk


리눅스에서는 Helium에서 다운 받은 프로그램을 압축 해제하고, 아래와 같이 ./run.sh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위의 명령어가 정상으로 실행되면 아래와 같이 활성화 됩니다. 대신 재부팅하시면 권한 획득을 다시 해주셔야 합니다.


Helium 백업 사용하기

 Helium의 권한을 획득했다면 이제 백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백업 방법은 간단하며, 백업은 SD카드에 할 수 있고, 구글 드라이브, Dropbox, Box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는 A폰에서 B폰으로도 바로 백업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 데이터를 이동하는 경우가 되겠죠.

 백업할 앱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검은색 창이 보이며, 여러개의 앱을 동시에 백어할 수도 있습니다. 앱의 데이터만 백업할 수도 있고, 앱까지 같이 백업할 수도 있지만 데이터만 백업하시는걸 권장해 드립니다. 데이터가 아닌 앱까지 같이 백업하면 구글 마켓에 표시가 안될 수도 있으며, 업데이트에 문제가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두 번째 탭에 클라우드와 기기인 SD카드에 백업할 수 있는 내용이 보입니다. 그리고 내 기기들의 목록으로도 연결 가능합니다. 이 경우는 폰에서 폰으로 바로 백업하는 경우이며, 이 부분은 아래에서 확인하겠습니다.


 백업가능한 드라이브는 내부 저장소, 스케쥴 백업, 구글 드라이브, Dropbox, Box 가 있습니다. 스케쥴 백업의 경우는 루팅이 되지 않는다면 조금 어렵게 보입니다. 내부 저장소에 백업한 데이터는 내 폰에서 바로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백업을 진행할 때 아래와 같은 창이 잠시 보입니다. 따로 만지실 부분은 없습니다. 만약 설정에서 백업 비밀번호를 추가하시면 그 비밀번호를 넣어주셔야 합니다.


 백업이 진행되면 아래와 같이 진행되게 됩니다.


구글 로그인을 통한 내 폰끼리 데이터 백업(유료 프로그램 사용시)

 내가 가지고있는 폰끼리 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해서는 구글 계정을 통해서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이 메뉴는 2 번째 탭에서 My Devices에서 활성화 하거나, 메뉴버튼의 로그인버튼을 눌러서 로그인하시면 됩니다. 구글 계정을 통하기에 구글 아이디는 당연히 있어야 합니다. 이 계정을 활성화 해두면 내가 사용하는 폰들이 목록에 보이며 이 목록에서 특정 폰의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게 됩니다.


 데이터 복사를 해야할 폰에서 Helium을 실행하고, 구글 계정 연결을 활성화 하면 아래와 같이 폰의 목록이 보이게 됩니다. 설치가 된 앱과 그렇지 않은 앱 모두 확인이 가능하며 백업받기 이전에 설치되지 않은 앱을 설치해줄수도 있습니다. 이 때도 동시에 여러개를 같이 백업 & 복원을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를 통하기에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는것보다는 많이 느립니다.


설정

  메뉴를 통해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별다른 설정은 없고, 백업시 비밀번호를 추가하거나, 백업시 비밀번호 이벤트에 대하여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를 설정하실게 아니라면 별다른 옵션은 없습니다.


 컴퓨터에서도 백업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주소를 통해 폰으로 접근하면 폰 데이터를 폰이 아닌 PC에서 백업해둘 수 있습니다.


 PC에서 위의 주소를 통해 접근하면 아래와 같이 백업과 복원이 가능합니다. 해동폰에서만 가능합니다.


마무리

 루팅없이 폰의 앱 데이터를 백업과 복원할 수 있는 Helium을 소개하였습니다. 이 Helium은 루팅을 굳이하지 않아도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어 아주 유용합니다. 백업 전의 과정이 초보자에게는 많이 어려울 수 있지만 익히고나면 정말 좋은 프로그램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카톡 데이터 백업도 가능한데 카톡의 경우는 백업과 복원시에 주의하셔야 하는게 있습니다. A 폰에서 카톡에 로그인한 번호가 000-0000-0000이라면 B로 데이터 백업과 복원을 하고나면 꼭 000-0000-0000으로 활성화 하셔야 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데이터는 복원이 되더라도 폰 번호가 다르면 채팅 자체가 되지 않습니다. 꼭 같은 번호가 아닌 경우라면 카톡 데이터는 백업과 복원을 진행하지 않으셔야 합니다.

 클라우드에 자동으로 데이터 백업과 복원까지 가능한 iOS야 이런 프로그램이 필요없지만 아직은 구 버전과 신버전이 함께 동작하는 안드로이드는 이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데이터 백업을 해두시는것도 좋습니다. 최근에 나오는 게임들은 구글+ API를 통해서 데이터 백업과 복원을 앱내에서 가능하므로 이런 경우를 제외하고 필요에 따라서 백업과 복원을 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루팅 없이 백업하는 어플인 Helium을 살펴봤습니다.